Skip to content
linkandbacklink
IG

양귀자, 모순, 1998

독서

contradiction

친구 집에 꽂혀있기에 ‘양귀자 이 사람은 원미동 원툴이 아니냐’, 라고 어그로를 끌었다가 큰 호통을 듣고 얼결에 빌려서 제주까지 가지고 오게 된 책이다. 사실 나는 <원미동 사람들>도 제대로 읽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양귀자의 소설을 잘 읽었다.

안진진이라는 이름의 주인공이 김장우와 나영규라는 두 사람 중 누구와 결혼할까를 고민하는 이야기다. 주인공이 선택할 수 있는 두 남자와 결혼해서 살 수 있는 미래는 각각 엄마와 이모의 삶을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케이스는 조금 다른데 장우는 엄마의 남편과 닮았고 영규는 이모부와 닮았다. 물론 영규라는 놈은 이모부에 비하면 지적 능력이 많이 모자라보이기는 한데 도식적으로 보면 전반적인 콘셉이 그렇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이야기의 결말을 생각해보게 된다. 이모는 부유하고 교양있는 사람이다. 엄마는 가난하고 남편 때문에 결혼 이후 오래 기구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이모는 제대로 묘사되지 않은 어떤 이유로 삶을 구속으로 느낀 바 어떤 결정을 하게 되고, 안진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규와 결혼하게 된다. 이모의 삶을 살아보겠다는 것이다.

이 결정도 명쾌히 설명은 어려운데 생각엔 이모의 삶이 궁금했던 것 같다. 그래서 겪어보고 싶었던 것 같고. 그 밖에는 장우와 부안과 고창에 가서 술 먹고 진상 부렸을 때의 경험도 힌트가 될 것 같다. 나를 구속하지 말라고 주정을 부리는데 실제로 장우를 구속으로 느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변명으로 주워삼은 것처럼 들리지만 진짜로 사랑한다면 그게 구속일 수도 있이다. 장우와의 미래에 예비된 가난이 구속처럼 느껴졌을 수도 있고.

결말이 조금 혼란스러웠던 것은 책을 덮으며 생각해보니 안진진 엄마의 삶이 그렇게 나쁜 삶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이 엄마를 천박한 속물처럼 묘사는 했지만 원래 가족들을 볼 때 그런 식의 왜곡이 씌워지기 마련이다. 박복하기는 하지만 자기계발 겁나 열심히 하고, 시장 나가서 열심히 일해서 가족들(정확히 말하면 무능한 아들을) 먹여 살린다. 매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이다. 쌍둥이가 만일 같은 사람이라면, 엄마의 불운은 엄마를 살게 했다. 이모의 행운은 이모를 죽였고.

이 책이 요새 엄청 인기 좋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기사 인터뷰의 출판사 대표처럼 나도 그 이유에 대해 좀 어리둥절하다. 읽으며 좀 신선하기는 했는데 내가 90년대에 전성기를 보낸 여성 작가의 소설을 그렇게 많이 읽지 않아서 배경 자체가 신선한 면도 있었고, 그보다 주인공의 내면을 이해하는데 꽤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X세대 조금 이전 세대의 인물이어서 그런가 싶지만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외딴 방>이 걸작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보면 시대가 문제인 것은 아닌 듯 함. 그리고 재미있게 읽었던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를 처음 읽었을 때를 생각하게 됨. 캐주얼한 소설이기는 했지만 어린 내가 삼십 일 세의 여성 인물의 내면을 이해하는데 조금도 무리가 없었기 때문에.

재작년에 소설에 나오는 고창과 부안 사이의 해안도로를 친구들과 드라이브한 적이 있다. 트렁크에 사람 크기의 홍어를 싣고 모항 해나루 호텔로 때려밟았는데 역시 책에 나온 것처럼 아름다웠다. 그 때 생각이 났다.

안서경, 한국문학계 최고의 역주행작, 양귀자의 <모순>, 2024

© 2024 by linkandbacklink. All rights reserved.
Theme by LekoArts